비하드웨어 사업모델·B2B 성장·신사업 동력 확보 중점 추진
2030년까지 연구개발·시설투자 등에 50조 투입…M&A도 적극 검토
LG전자가 '글로벌 선도 가전 브랜드'를 넘어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난다.
이를 위해 비하드웨어(Non-HW), 기업간거래(B2B), 신사업 등 3대 신성장동력을 중점 추진하고, '2030년 매출 10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조주완 사장은 12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런 미래 비전과 중장기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조 사장은 "앞으로 LG전자는 좋은 제품을 만드는 최고 가전 브랜드에 그치지 않고, 고객의 다양한 공간과 경험을 연결·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도약하는 담대한 도전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재무적으로는 2030년 '트리플 7'(연평균 성장률과 영업이익률 7% 이상, 기업가치 7배 이상)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으며, 지난해 65조원 수준(LG이노텍 제외)이었던 매출 규모를 2030년 100조 원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LG전자는 고객 접점과 경험을 확장하기 위한 3대 축으로 ▲비하드웨어 사업모델 혁신 ▲B2B 영역 성장 ▲신사업 동력 확보를 제시했다.
2030년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이들 3대 축의 비중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또 사업 포트폴리오 대전환과 사업의 질적 성장을 위해 2030년까지 50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
구체적으로 연구개발(R&D) 투자에 25조 원 이상, 설비투자에 17조 원 이상, 전략투자에 7조 원을 각각 투입할 계획이다.
기존 하드웨어 중심 사업에 콘텐츠와 서비스, 구독, 솔루션 등 무형(Non-HW)의 사업을 더해 수익을 꾸준히 창출하는 순환형 모델로 혁신을 꾀한다.
LG전자는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에 콘텐츠·서비스·광고 영역을 더해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플랫폼 업체'로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무료방송인 LG 채널의 콘텐츠 경쟁력 강화에 5년간 1조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 외부 TV 브랜드에 웹OS 플랫폼 공급을 늘리고, TV 외 다른 제품군으로도 웹OS 적용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생활가전도 서비스 기반 포트폴리오 대전환에 속도를 낸다.
구매 후 새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업(UP)가전을 더 진화시키고, 구독과 스마트홈을 접목한 'HaaS'(Home as a Service)를 지향점으로 삼기로 했다.
가전 경쟁력에 고객이 홈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더해 집 안 전체를 아우르는 '홈 솔루션 사업'으로 확장한다.
B2B 사업도 속도를 내 집 안 공간 중심의 기존 사업에서 지난 65년간 축적한 노하우를 커머셜과 모빌리티, 가상공간으로 확장해나간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는 2030년 B2B 매출 40조 원 이상 달성을 목표로 잡았다.
전장사업의 경우 2030년까지 매출액을 2배 이상으로 키워 20조 원 규모 글로벌 '톱 10' 업체로 육성할 계획이다.
전장 사업의 수주잔고는 올해 연말 100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정·상업용 냉난방공조(HVAC) 사업 또한 2030년까지 매출액을 2배 이상으로 늘려 글로벌 톱티어 종합 공조업체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북미, 유럽 등 주요 지역에 연구개발부터 생산·영업·유지보수로 이어지는 '현지 완결형 사업구조'를 구축할 계획이다.
빌트인 가전도 글로벌 '톱 5' 브랜드로 육성하고, 상업용 디스플레이는 버티컬(Vertical·특정 고객군) 맞춤 솔루션을 통해 성장을 가속한다는 구상이다.
LG전자는 로봇 사업도 중점 추진하고 신사업 발굴과 육성에도 힘을 쏟는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북미이노베이션센터(NAIC)를 중심으로 전략적 투자를 이어간다.
LG전자는 지난해 말부터 미국 원격의료기업 암웰과 함께 북미에서 비대면 원격진료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예방 및 사후관리 영역으로 사업 확장도 검토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 사업은 단순히 충전기 판매에 그치지 않고 관제 영역을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LG전자는 최근 자회사 하이비차저를 통해 국내용 제품 4종을 출시했으며, 내년 북미를 시작으로 유럽과 아시아 등으로 시장을 확대한다.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한 추가 생산기지 구축도 올해 안에 시작할 계획이다.
메타버스 영역에서는 폭넓은 전략적 협업 관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혼합현실(MR) 기기의 경우 글로벌 유력 플랫폼사와 공동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조 사장은 메타버스의 성공 요소로 플랫폼과 콘텐츠, 디바이스를 꼽으며 "아직 이 3가지 요소를 골고루 갖춘 챔피언은 없다고 본다"며 "글로벌 파트너들과 역량을 교환하기도 하고 사업화 가능성을 검토하는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증강현실(AR) 기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R글라스 고도화 및 콘텐츠 제작 생태계 구축 지원사업'을 진행 중이다.
또 LG전자는 조인트 벤처(JV)나 인수·합병(M&A)을 통해 새로운 사업과 역량을 마련하는 '인오가닉'(Inorganic)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조 사장은 "M&A 등에 대해 여러 가지 검토를 하고 있지만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인오가닉 방식에 대해 서슴지 않고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퀀텀 점프를 만들어 나가는 LG전자의 모습들을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전국매일신문] 김현준기자
kimhj@jeonm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