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보성군은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올해부터 관내 12개 읍면에 마을방송용 가정 수신기를 본격적으로 보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을방송 수신기는 문자보다 전달력이 우수하고, 실내에서도 문을 닫은 상태로 방송 청취가 가능해 고령자나 거동이 불편한 주민들에게 특히 유용한 장비로 평가된다.
이 장치는 긴급 상황 발생 시 빠른 상황 전파가 가능해 재난 대응 체계의 주요 수단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2024년에는 문덕면과 득량면 전 지역을 포함해, 별도로 신청한 가구에 대한 설치를 완료했으며, 낮 시간대 주민 이용이 많은 마을회관과 경로당 등에도 설치를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년도에 수신기를 신청하지 못한 가구를 대상으로 추가 신청을 받아 설치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현재 행정안전부가 운영 중인 휴대전화 재난 문자 시스템은 스마트폰 사용자에게는 유효하지만, 구형 휴대전화 사용자나 일부 정보 취약계층에게는 전달력이 떨어져 이를 보완할 수단으로 마을방송 수신기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설치 완료 후 진행된 주민 만족도 조사에서는 총 응답자 3,848명 중 95%(3,656명)가 만족한다고 답했고, 이 가운데 76%(2,921명)는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만족 요인으로는 ‘깨끗한 음질’(81.5%), ‘다시 듣기 기능’(53%), ‘시계 기능 활용 편의성’(52.1%) 등이 주요하게 꼽혔다.
김철우 군수는 재난은 예고 없이 찾아오며, 빠른 정보 전달이 생명 보호의 핵심이라며, 향후에도 수요에 따라 수신기 보급을 지속 확대해 재난 안전망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국매일신문] 보성/ 박종수기자
pjs@jeonm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