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인천신항 '황해권 거점항만' 육성 속도낸다
상태바
인천신항 '황해권 거점항만' 육성 속도낸다
  • 백인숙기자  인천/ 맹창수기자
  • 승인 2016.03.24 0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항을 황해권 거점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에 속도가 붙는다.
 해양수산부는 23일 인천항 컨테이너 기능조정 및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인천항의 컨테이너 화물 처리는 내항 4선석, 남항 7선석으로 나눠져 있고 여객수송도 연안부두와 내항에서 이원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인천신항의 1단계 컨테이너 부두는 모두 6선석이다. 선광터미널(3선석)이 작년 6월 먼저 문을 열었고 이달 18일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3선석)이 운영을 시작했다.
 현재 부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2017년 11월이면 6선석이 모두 가동한다. 해수부는 이날 발표를 통해 내항의 컨테이너 처리 기능을 신항으로 이전하기로 했다.
 대형 선박을 수용할 수 있고 첨단 하역장비를 갖춘 신항을 중심으로 인천항의 컨테이너 처리기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내항의 한진부두는 다음달에 신항 터미널로 기능을 넘기고 대한통운 부두는 계약이 종료되는 2018년 4월까지만 운영하고 일반화물 처리 부두로 기능을 전환한다.
 해수부는 신항 컨테이너부두 개장으로 운영사간에 과당경쟁이 벌어질 수 있다고 보고 컨테이너 하역료 신고제 준수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앞서 부산 신항이 급성장하면서 기존 북항의 쇠락을 가져왔다.
 새로 문을 연 부산 신항 부두 운영사들은 북항을 이용하던 선사들을 빼앗아와야 하고, 북항의 운영사들은 선사 이탈을 막아야 하는 처지가 됐다.
 그 결과 20피트짜리 컨테이너 개당 하역료가 3만원대까지 떨어지는 사태까지 벌어져 전반적인 하역료 수준이 10여년 전에 비해 반토막이 났다.
 인천항에서도 하역료 덤핑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에 해수부가 적극적으로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해수부는 신항 컨테이너 부두가 본격 가동됨에 따라 2018년 5월 공급하기로 한 배후단지 1단계 1구역을 2018년 초로 앞당겨 공급하기로 했다.
 신항 배후부지는 진출입 항로의 수심을 늘리는 작업에서 파낸 준설토를 매립해 조성한다.
 1구역에는 액화천연가스(LNG) 냉열을 활용한 냉동·냉장클러스트를 만든다.
 23만1천㎡(7만평) 규모의 냉열 공급시설과 물류센터를 2018년 12월까지 건설하고 입주기업도 올해 12월까지 선정한다.
 냉동·냉장 클러스트는 신항 인근 LNG기지에서 발생하는 초저운 냉열에너지를 공급받아 전기냉각식 대비 전기료를 50% 이상 절감하고 냉동설비투자비도 25% 절감할 수 있다.
 해수부는 신항 배후시설 부족을 해소하고자 올해 12월까지 소량화물 전용 보세창고를 건립하고 신항 관리부두 내 화물차 주차장 및 휴게소를 조성한다.
 한편 신국제여객부두가 2019년 5월 개장하면 연안부두와 내항에서 나눠서 처리하던 카페리 화물물량도 한 곳으로 모아진다. 해수부는 임대료 체계 등을 포함한 신국제여객부두 운영방안을 2017년 6월까지 마련한다.
 윤학배 해수부 차관은 “오늘 발표된 대책들을 차질없이 추진해 2020년에는 인천항을 300만TEU 이상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항만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