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은 다른 신체 부위와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면 점점 시력이 떨어지고 다양한 노화 현상을 겪게 된다. 특히 눈은 단순 시력 저하에 그치지 않고 실명을 유발하는 안질환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하는데, 그중에서도 '녹내장'은 대표적인 실명 질환으로 꼽혀 조기 진단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녹내장은 주로 안압(눈의 압력)의 상승에 의해 눈에 받아들인 빛을 전달하는 시신경에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시신경이 장애를 받으면 시야에 안보이는 암점이 생기게 되고, 점차 진행이 되면 실명에 이르게 된다.
다만 만성 녹내장은 진행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환자가 어떤 증상도 느끼지 못하다가 치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가장 흔한 형태의 녹내장인 '개방각 녹내장'은 성인녹내장의 90%가 해당하는 형태인데, 안압이 서서히 높아지기 때문에 자각 증상이 없고 겉으로도 정상처럼 보인다.
또 흔하게 발생하는 녹내장은 정상안압 녹내장이다. 안압은 높지 않고 정상 수준인데도 시신경의 손상으로 시야와 시력이 상실된다. 이때 안압을 낮추고 시신경으로의 혈류를 개선해야 시신경이 망가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녹내장은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 모두 발병할 수 있지만 특히 40세 이후 많이 발병하기 때문에 누구나 정기적인 녹내장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조기에 진단하면 치료를 통해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안압계 안저카메라 OCT 시야검사기를 이용해 초기녹내장을 효과적으로 찾아내고 있다. 이는 안구 생체 조직의 단층 영상 및 횡단면을 우수한 해상도로 검사할 수 있는 장비다.
OCT 검사는 초기녹내장과 함께 3대 실명 질환으로 꼽히는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등을 검사할 수 있다. 눈의 망막 및 맥락막 질환 등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고, 촬영 후 바로 3차원으로 구성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보험 적용도 가능하다.
일단 녹내장으로 인해 실명이 되면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갑자기 시야가 좁아져 보이는 경우, 시야가 찌그러져 보이거나 눈부심 증상이 있는 경우, 시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우, 고혈압이나 당뇨가 있는 경우, 가족 중 망막질환 및 녹내장 환자가 있는 경우, 50세 이상의 정기 안검진이 필요한 경우 등에 검사가 필요하다.
[전국매일신문 칼럼] 이용준 용인서울안과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