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기고] 블랙 아이스 교통사고의 원인과 예방법
상태바
[기고] 블랙 아이스 교통사고의 원인과 예방법
  • 전국매일신문
  • 승인 2025.01.23 16: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광수 일산서부경찰서 교통관리계장 경감

겨울철은 교통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시기다. 특히 블랙 아이스는 겨울철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 중 하나로, 많은 운전자가 그 존재를 인식하지 못해 사고가 일어난다.

블랙 아이스는 도로 표면에 얇은 얼음층이 형성돼 미끄럽고 투명해서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위험에 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고 눈이나 비가 내린 후 기온이 다시 떨어질 때 발생하기 쉽다. 특히 도로의 특정 장소, 즉 그늘진 곳이나 교량 위에서는 훨씬 더 쉽게 형성되는 환경이 조성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블랙 아이스 등으로 발생한 빙판길 교통사고는 모두 3944건으로 집계됐는데, 이 사고로 95명이 사망하고 6589명이 다쳤다. 특히 빙판길 교통사고의 절반인 1939건이 12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으며 3258명의 인명 피해를 초래했다. 하루 평균 13건의 사고가 발생했는데 시간대별로는 오전 8시부터 10시 사이에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했다. 이는 많은 운전자가 블랙 아이스의 위험성을 간과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블랙 아이스 사고는 종종 갑작스럽게 발생해 운전자가 미리 대비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한다. 이러한 사고는 단순한 차량 손상을 넘어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문제다. 블랙 아이스의 문제점을 더 깊이 살펴보면, 이 얼음층은 도로의 다른 요소들과 함께 작용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 아이스가 형성된 도로에서는 제동거리가 늘어나고 차량의 통제력이 떨어져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고속도로와 같은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도로에서는 위험이 더욱 커진다. 또한, 블랙 아이스로 인한 사고는 종종 다른 차량과의 충돌로 이어지며 이는 단순한 사고를 넘어 다수의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운전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위험한 블랙 아이스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미리 대비하는 운전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저속주행과 방어 운전은 필수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블랙 아이스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몇 가지 효과적인 예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속도를 줄이고 차간 거리를 넉넉하게 확보해야 한다. 이를 통해 블랙 아이스 구간에서의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둘째, 급가속이나 급제동 그리고 급회전은 피해야 한다. 이러한 행동은 차량의 통제력을 떨어뜨려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셋째, 타이어 점검이 중요하다.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고 겨울용 타이어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주기적으로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확인해 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넷째, 도로 상황과 기상 정보를 미리 확인해야 한다. 특히 블랙 아이스 발생 가능성이 큰 날씨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빙판길이나 내리막길에서는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빙판길에서 풋브레이크만으로 급정거할 경우 차량이 미끄러질 수 있어, 엔진 브레이크로 기어를 변속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것이 좋다.

겨울철 블랙 아이스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소로 그 위험성을 인식하고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안전 운전은 개인의 책임이자 사회 전체의 안전을 위한 기반이 된다. 모든 운전자가 경각심을 가지고 블랙 아이스에 대비한다면 겨울철 교통사고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겨울철 안전한 운전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운전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전국매일신문 기고] 이광수 일산서부경찰서 교통관리계장 경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